본문 바로가기

WTI

(5)
WTI 과거 상승 및 하락률 1. WTI 일간 플러스 수익률 상위 20개 2. WTI 일간 마이너스 수익률 상위 20개 첫번째 테이블은 WTI 과거 자료를 기준으로 일간 플러스 수익률 상위 20개이며 두번째 테이블은 일간 마이너스 수익률 상위 20개 정렬한 것. 4/2 WTI 상승은 WTI가 상장된 이래 최대 상승폭. 공교롭게도 20% 이상 상승한 날은 역대 2번이 있는데 최근. 역시 20% 이상 하락한 날이 최근 2번에 걸쳐 있어 유가 변동성이 극심한 상황. 3. 연속 상승하면서 상승률이 20% 이상이었던 날 세번째 그래프는 한번에 총 20%이상 상승한 날을 구분해본 것. streak_signal은 연속 상승일 수를 나타냄. 즉 과거 자료로 보면 20%이상 상승하기 위해서는 최소 이틀은 걸리는데 한번에 20% 이상 상승한 것은 앞..
유가 급락 과거와의 사례 비교 1. Dynamic Time Warping을 통한 현재 WTI 급락과 과거 WTI 급락 시기 탐색 순수한 궁금증이다. 최근 유가가 급락하는데 과거 이러한 시점이 언제였을까? 내 기억 속에는 2018년 10월부터 12월까지 비슷한 흐름이 있었던 것 같다. 데이터를 통해 조금 더 면밀하게 찾아보고 싶어 검색하던 중 발견한 파이썬의 DTW. DTW에 관한 내용은 인터넷에 많이 있으니 생략하고, 핵심은 과거 패턴을 동적으로 찾는 알고리즘이다.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위와 같은 그래프를 얻었다. 시기를 보면 1980년대 중반과 2018년. 2. 시기별 흐름을 나누어서 보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유가급락과 비슷한 시점은 1985년에서 1986년과 2018년에서 2019년. 1. 1985년에서 1986년에는..
브렌트-WTI 스프레드 Summary 최근 브렌트-WTI 스프레드는 6달러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지난 2011년~2013년 이후 재차 브렌트의 상대적 강세가 나타나고 있음. 최근 스프레드 확대는 전세계 수급밸런스가 균형을 이루어간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국제벤치마크 가격인 브렌트유가 상승폭을 확대해가는 가운데 WTI의 경우에는 미국 생산량 증가 우려로 상대적으로 상승이 제한되면서 벌어진 현상임. 또한 예멘 후티 반군이 사우디 수도 리야드를 통해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사우디 왕세자인 Mohammed bin Salman이 반부패 혐의로 왕족과 장관 등을 체포하면서 실권을 장악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중동 지역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임. 스프레드는 현재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판단됨. 그 이유로 첫 번째 중동의 지..
Dallasfed 서베이 조사 결과 1. Dallasfed 서베이 조사 결과 https://www.dallasfed.org/research/surveys/des/2017/1704.aspx#tab-questions 1. 현재부터 6개월 간 미국 원유리그 건수는 현재 수준에서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대답에 응답한 128개의 석유 및 가스 업체들 중 51%는 현 수준보다 미국 원유리그 건수는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았으며 46%는 현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3%만이 현 수준보다 낮아질 것으로 내다보았다. 2. 미 원유 리그건수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WTI 가격은? 대답에 응답한 125개의 석유 및 가스 업체들 중 42%는 WTI 가격이 61~66달러가 될 경우 리그 건수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31%는 66..
RSI(2013년 WTI 9월물) Technical 7월 5일부터 RSI 과매수 상태로 진입. 7월 18일, 19일, 22일 캔들차트상의 십자석별형과 유사한 형태 출현으로 하락반전 암시 7월 19일 RSI 75.51 7월 22일 RSI 69.15 RSI 70 이상에서 22일 RSI가 직전 고점 RSI인 7월 10일자 RSI 78.58을 갱신하지 못하고 70이하로 전환 "역추세전환의 실패(Failure Swing)"이 나타남. 거래량이 7월 19일 부터 감소하면서 상승에 베팅하는 세력 부재.. 7월 22일 매도 고려 시점, 22일 캔들차트의 완성과 RSI 확인 후 23일 매도 Fundamental 7월 5일 - 미국 고용지표, 이집트의 정치적 소요사태를 배경으로 상승세가 지속됨. - 6월 미 비농업부문 고용은 전월 대비 165,000명 늘..